본문 바로가기

자연 속 이야기

문경시의 중심 주흘산 살펴보기 문경의 중심인 주흘산을 알아보자 소백산맥이 태백산맥에서 갈라져 나가면서 첫머리에 소백산을 앞세우고 첫 번째 고개인 죽령을 넘어 도솔봉과 황장산을 거쳐 문수봉, 대미산을 잇대면서 이화령을 넘어 백화산으로 나간다. 이렇듯 백두대간이자 소백산맥의 주릉인 부봉에서 가까운 지능선에서 위치하면서 천애 절벽을 이룬 자연 성곽이 예로부터 천혜의 요새로 주요시되어 오고 있었다. 조선 태종 때 조령산과 주흘산의 가운데 계곡길이 국도로 지정되고 조령관문이 세워지게 된 것도 이런 연유에 기인한 것이다. 등산의 기점이 되는 하초리 주흘관이 위치한 일대에는 최근에 드라마 태조 왕건의 세트장이 들어서며 관광명소가 되었고, 혜국사와 여궁폭포도 머지않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또한 북으로 포암산을 비롯해서 동쪽에 운달산 등.. 더보기
한반도의 등줄기 속 주왕산 알아보자 한반도의 등줄기 속 주왕산 알아보자 한반도의 등뼈인 태백산맥이자 백두대간이 금강산, 설악산, 오대산을 빚으며 남쪽으로 뻗어 내려가다가 거의 산맥이 끝나갈 즈음에 경북 땅 중간에 이르러 여세를 몰아 일으키면서 또 하나의 명산을 만드니 이것이 주왕산이다. 백두대간에서는 매봉산으로 들기 직전 피재에서 남으로 뻗어 내린 낙동정맥 상의 가운데쯤 위치하고 있다. 주왕산은 아름다운 계류와 죽순처럼 솟아오른 암봉 및 기암괴석에다 울창한 송림이 한데 어우러져 한 폭의 산수화 같은 절경을 이루고 있다. 주방 절에서 계류를 끼고 올라가는 좌우로 우람하게 치솟은 암봉과 암벽이 마치 바위 병풍을 두른 듯하다. 그래서 예전에는 석병산이라 불리기도 하였다고 한다. 입구의 기암을 필두로 급수대, 학소대, 신선대, 시루봉, 관음봉, .. 더보기
서울로 오르는 국도 문경새재 조령산 서울로 오르는 국도 문경새재 조령산 백두대간과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소백산맥이 소백산을 그 머리로 하여 죽령을 넘고 도솔봉, 문수봉을 거쳐 주흘산을 넘어 뛰어 조령산으로 이어진다. 충북 괴산군과 경북 문경시의 경계를 이루면서 이화령을 발판 삼아 북으로 길게 늘어선 주능선을 줄기 삼고 동서로 잔맥이 가지를 쳐 내렸다. 이 산은 우리나라에 산이 많다는 것을 증명이나 하듯 유명한 고개를 많이 이루고 있는데 그중 유명한 것이 조령관문의 끝 부분이 되는 새재와 이화령고개다. 조령, 즉 새재라 함은 새들이 넘나드는 통로로 새도 쉬어 가는 고개란 뜻이 있고, 문경새재라고 부르게 된 것은 영남사람들이 이 고개를 넘어 서울로 가는 국도였기 대문이다. 조령 제 1관문에서 제2, 제3관문으로 이어지는 새재길이 지정된 것은 조.. 더보기
잘 알려지지 않은 호남정맥의 조계산 둘러보기 유명한 사찰에 가려진 숨은 보석 조계산. 호남정맥이 백운산에서 서북으로 뻗어 올라가며 순천에 이르러 오성산에서 접치로 떨어졌다가 일어서며 조계산을 일구고 고동산으로 이어져 나가게 되는데, 조계산은 그 연결 고리 역할을 하고 있으면서 정상에서 동과 서로 가지 친 능선의 길이만도 각각 거의 10km에 이르러 그 규모가 만만치 않다. 조계산은 조계천 계곡을 가운데 두고 낙동정맥을 축으로 하여 동서로 나란히 뻗어 내려간 능선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본래는 동쪽의 산군을 조계산이라 하여 그 주봉을 장군봉이라 불렀고, 서쪽은 송광산이라 하여 그 정상을 연산봉이라 했다. 장군봉 아래 동쪽으로 선암사가 있고, 연산봉 아래 서쪽에는 전국 3대 사찰의 하나인 송광사가 각각 자리잡고 있다. 두 절이 너무나도 유명한 대 사.. 더보기
가을을 빛내는 산이 바로 적상산 등산코스 가을을 빛내는 산 중의 산이 바로 적상산 등산코스가 아닌가요? 적상산은 소백산맥이 추풍령에서 잠시 멈칫하다가 다시 한번 솟구치면서 황악산과 민주지산을 일구고 이어서 덕유산으로 내달아 오르게 되는데, 이때 덕유산 정상인 향적봉에서 서북쪽으로 10km쯤 되는 곳에 한 자락 암산을 이루니 바로 이것이 적상산이다. 덕유산이 75년 2월 1일 국립공원으로 지정이 될 때 함께 포함된 산이다. 사방이 깎아지른 암벽으로 이뤄지고 그 절벽 주변에 유난히도 빨간 단풍나무가 많아서 가을철이면 마치 온 산이 빨간 옷을 입은 여인네의 치마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혹자는 바위 자체가 붉은 옷을 입은 듯 붉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고도 한다. 산에는 장도바위 장군바위 등 자연적 명소와 안국사 적상산성이 있고, 상부댐 적.. 더보기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다녀오기 좋은 점봉산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다녀오기 좋은 점봉산 백두대간과 태백산맥이 설악산에서 한계령을 넘어 점봉산으로 이어져 나가면서 남설악이라 불리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산악 미를 갖추고 있다. 설악산 대청봉을 남북으로 마주 보면서 설악산국립공원의 일부로 남설악 지구를 이루고 있다. 한계령에서 북쪽이 설악산이고, 남쪽이 점봉산이다. 등벙산 또는 등붕산이라고도 불리는 산은 태백산맥의 중추를 이루며 오색약수와 이 산이 사실상 남설악 관광의 핵을 이루고 있다. 특히 12담구곡으로 일컬어지는 계곡은 일명 주전골이라고도 하는데 이곳은 예전에 무법자들이 이 골짜기 안에 숨어서 몰래 주전을 만들다 적발되었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그만큼 계곡이 깊고 험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주전골 좌우로는 갖가지 모양의 기암 괴봉 원시림 탕 소와 .. 더보기
전북의 자랑거리라고 해도 좋은 장안산 전북의 자랑거리라고 해도 좋은 장안산 고산이 드문 전라북도에서 유독 고산이 몰려있는 장수군에 위치하며 그중 높은 산이고 장수의 진산이라 할 수 있다. 장수 군 지 장안산 편에 의하면 일명 영취산이라고도 하며, 장수, 번암, 장계 등 4개 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백두대간이 뻗어 전국의 팔 대종 산중 제일 광활한 면적을 점유하고 있으며, 노령산맥의 기봉이기 때문에 호남의 종산인데, 이처럼 산경에 대한 지리적 위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지리산을 호남의 종산이라고 알고 있는 것에는 많은 아쉬움이 있다고 하고, 영취산은 지리산의 부산이 되는 셈이라고 적고 있다. 특히 장수군은 소백과 노령의 협곡지에 위치하면서 덕유산, 팔공산, 성수산, 덕태산 등 고산이 집중되어 있고 군 전체 면적의 70% 이상이 산악지대로 이.. 더보기
영월의 숨은 명산이라고 할 수 있는 장산. 애호가라면 알 수 있다는 장산 백두대간이 함백산에서 화방재를 건너뛰어 태백산으로 연결해 나갈 즈음에 화방재 쪽에서 서쪽으로 가지 쳐 나아가다 불쑥 솟구친 암산이 바로 장산이다. 이렇듯 태백산과 함백산에 이웃해 있지만 두 산의 명성에 눌려서 그냥 지나치기 십상이어서 아직까지도 잘 알려지지 않은 덕분에 비교적 때가 덜 묻었다고 할 수 있는 산이다. 교통편이 불편한 것도 원인 중의 하나일 것이다. 산 전체가 암산으로 이루어져 정상을 비롯하여 주능선이 암봉과 암벽으로 형성되어 있고 함백산 쪽에서 바라보면 마치 거대한 봉분을 연상케 하여 호기심이 일기도 한다. 정상에 올라서면 북으로 백운산에서 두위봉을 이은 연릉이 펼쳐지고, 동쪽으로 돌아가며 함백산과 태백산이 바로 이웃에 맥을 잇고 남으로 뻗어가며, 구룡산을 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