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로 오르는 국도 문경새재 조령산
백두대간과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소백산맥이 소백산을 그 머리로 하여 죽령을 넘고 도솔봉, 문수봉을 거쳐 주흘산을 넘어 뛰어 조령산으로 이어진다. 충북 괴산군과 경북 문경시의 경계를 이루면서 이화령을 발판 삼아 북으로 길게 늘어선 주능선을 줄기 삼고 동서로 잔맥이 가지를 쳐 내렸다.
이 산은 우리나라에 산이 많다는 것을 증명이나 하듯 유명한 고개를 많이 이루고 있는데 그중 유명한 것이 조령관문의 끝 부분이 되는 새재와 이화령고개다. 조령, 즉 새재라 함은 새들이 넘나드는 통로로 새도 쉬어 가는 고개란 뜻이 있고, 문경새재라고 부르게 된 것은 영남사람들이 이 고개를 넘어 서울로 가는 국도였기 대문이다.
조령 제 1관문에서 제2, 제3관문으로 이어지는 새재길이 지정된 것은 조선 태종 때의 일이고, 이곳에는 박달나무가 많아 박달령이라고 불리었다 한다. 예전에는 이곳의 박달나무로 만든 다듬이 방망이나 홍두깨가 전국으로 팔려나가기도 해서 새재 박달나무는 복도 많아 큰 애기 손길에서 놀아난다.라는 민요가 나올 정도였다.
이제 말끔히 복원된 제1관문에서 제3관문을 잇는 도로의 숲길도 볼만하고 이화령고개를 넘어가는 포장길도 운치가 있다. 정상의 북쪽으로 신선봉과 치마바위 조령관, 마패봉이 이어지고, 서쪽으로 수옥정폭포와 심기골, 절골, 용송골 등이 암벽을 이룬 협곡을 따라 아름다운 계곡을 이루고, 기암 괴봉으로 변화무쌍한 산세를 지닌 조령산과 주흘산이 나란히 자랑하듯 양립해 있는 모습은 언제 보아도 흐뭇한 장관의 일면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장송이 곳곳에 진을 치듯 바위 릉에 수를 놓아 마치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한다. 산이 험한 만큼 등산 성도 높아 경험자들에게 인기 있는 산이다.
산행 가이드
산의 규모는 크지도 작지도 않을 정도로 조령산을 가운데 두고 직사각형 방향으로 교통망이 뻥 뚤려있다. 따라서 등산로 진입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데, 주능선 좌우로는 굉장한 절벽을 이루고 있어 산길이 나지 않은 곳은 통과가 어려우나 현재 2~3개의 코스가 개발된 상태다. 그리고 이화령 고개까지 차량이 올라갈 수 있으므로 으레 여기서부터 산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 이화령터널이 뚫리며 이화령으로 가는 차편이 드물어 불편해진 곳이다. 초심자는 경험자와 함께 할 것을 당부한다.
조령산 제1코스 <8.5km, 4시간>
이화령고개 마루턱이 이미 해발 548m나 된다. 2층 건물인 휴게소 건너편에서 문경 쪽으로 고개를 넘어서는 곳에 왼쪽으로 적사장이 보인다. 이 적사장에 이르기 직전에 왼쪽으로 바로 올라 능선길을 따라 앞의 756봉을 넘어서면 갈림길이 있는 안부에 이른다. 또는 적사장 앞을 지나 산허리 길로 들어 오른쪽으로 돌아가는 듯 30분쯤 나아가다 왼쪽으로 나타나는 오름 길로 올라서면 앞의 능선 안부다. 어느 쪽을 택하던 시간은 비슷하게 걸린다.
나무는 별로 없고 잡초만 무성한 능선길이라 탁 트인 전망을 즐기면서 마냥 올라가게 된다. 마치 어느 영화의 한 장면을 연상케 하는 초원지대를 20분정도 걸으면 장송이 한 그루 우뚝 선 곳에서 갈림길이 나온다.
여기서 왼쪽의 능선길을 버리고 오른쪽 길로 들어 한동안 나가다 왼쪽으로 올라서면 버드나무 한 그루가 있는 갈대밭 한 모퉁이에 샘터가 나타난다. 양지바른 곳에 풀밭도 좋아 쉬기에 그만인 장소다. 부근 일대는 온통 한 키가 넘는 갈대와 억새풀이 돼 덮고 있어 장관이다. 억새풀 사이로 100m쯤 나가면 소나무가 빽빽한 숲길로 변하고 다시 참나무 숲길로 들면서 약 20분쯤만에 전망이 확 트이더니 990봉에 이르며 뒤에 보이는 것이 정상이다.
동북쪽으로 주흘산의 전경이 멋지게 펼쳐지고 조령관문으로 들어가는 차도가 계곡 아래로 내려다보인다. 이화령에서 문경으로 이어지는 포장도로도 꼬불꼬불 모습을 드러낸다. 남으로 건너편에 백화산의 육중한 모습도 보인다. 여기서 약간 내려가는 듯하다가 5분쯤 올라가면 정상이 나온다. 이곳은 나무들이 가려있기 때문에 전망이 좋지 않다. 서쪽 아래로 신풍리와 원풍리 일대가 내려다보이고 북쪽으로 월악산이 아득히 보이는 앞에 부봉이 멋지게 보인다.
잘 알려지지 않은 호남정맥의 조계산 둘러보기
유명한 사찰에 가려진 숨은 보석 조계산. 호남정맥이 백운산에서 서북으로 뻗어 올라가며 순천에 이르러 오성산에서 접치로 떨어졌다가 일어서며 조계산을 일구고 고동산으로 이어져 나가게
sstarship.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