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 라는 이름들은 어떻게 지어진 것일까? 그리고 왜 별자리라고 할까요?
천문학이 아닌 관점에서 바라보면 별자리라고 하는 것은 밤하늘의 별들에게 사람들이 그냥 인위적으로 붙여버린 이름을 별자리라고 하는데요. 옛날부터 전통적으로 전해오는 별자리 이야기들도 많고해서 지금도 누구나가 새로운 별자리를 마음껏 그려볼 수도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황도 12궁이라고 해서 고대 아라비다, 이집트 그리스 등에서 예로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당연히 동양에서도 있는데요. 동양의 경우 고대 중국에서의 3원 28수라는 체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 천문학에서 근거하면 이러한 전례들의 이야기들이 전혀 다르게 해석되는데요. 북두칠성 등의 오래전부터 전해오는 별자리들은 성궁으로 분류하고, 별자리라고 하는 것은 상상의 선으로 이어서 그려놓은 별을 말하는 것은 아니고 그 별들의 구성들끼리 차지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고로 학계에서도 합의가 된 별자리는 총 88개가 있고, 하늘을 88개의 조각(월경지)를 고혀라면 89조각으로 나누어서 놓고 그 조각이 차지하는 공간을 별자리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성좌라고도 부르기도 하고요. 천문관측의 역사가 오래된 북반구에서는 대략 55개의 별자리가 보이고, 남반구에서는 보이는 별자리가 대체적으로 큼직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천구를 88조각으로 나뉘어 놓았기 때문에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모든 천체 별들은 특정 별자리에 속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별자리는 관측하는 사람이 특정 별들을 빨리 찾아 볼 수 있게 해 주기도 하며 쉽게말해 별자리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지도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물론 별자리라는 것은 별들이 그때그때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달리 보일 수 도 있지만 태양계 밖의 천체의 경우에는 변하는 속도가 거의 미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