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스토리

별자리의 역사를 알아보자.

반응형

별자리는 원래 약 5000년전에 바빌로아 지역에서 해당하는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근처에서 살던 유목민인 칼대아인들이 양때를 지키면서 밤하늘의 별들을 형태에 관심을 갖으면서 유래가 되었는데요. 그때부터 그 유목민들의 상상속에 그려지는 별자리들이 탄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bc3000년 경이 지어진 이 지역의 표석의 내용을 보면 양, 황소, 쌍둥이, 게, 사자, 처녀, 천칭, 전갈, 궁수, 염소, 물병, 물고기자리등 행성과 태양이 지나는 그 길목에 놓인 황도를 따라서 배치된 12개의 별자리, 즉 황도 12궁을 포함해서 20개의 별자리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고대 이집트쪽 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이미 43개의 별자리가 있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후 바빌로이나와 이집트의 천문학은 그리스로 전파가 되어 별자리 이름에 그리스신화 속의 신들과, 영웅들 그리고 동물들의 이름이 더해져서 지금껏 내려오고 있습니다. 큰곰, 작은콤, 안드로메다, 페르시우스 등이 이러한 사례들입니다. 

 

 

 

AD2세기에는 그리그의 천문학이 집대성되여 북반구의 별자리를 중심으로 총 48개의 별자리들이 표현되고 있으며, 이 별자리들은 그 후 15세기까지 유럽에서 널리 알려져 있었다. 15세기 이후에는 원양항에의 발달로 인해 북반구 뿐만아니라 남반구쪽에 위치한 곳에서도 별자리들이 관찰되어서 기존에서 새롭게 더 추가적인 별자리들이 생겨나기 시작되었습니다. 공작새, 날치자리가 그 대표적이고요. 또 망원경이 발달로 인하여 지금의 별자리에서 그 사이사이 더 작은 별자리들도 속속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편 중국과 인도 등에서도 고대 별자리 관측이 이루어 졌었는데요. 이는 서양의 것과는 전혀 다른 계통으로 이루어져 있다는게 특징입니다. 중국에서는 BC5세기경 적도부근에서 28개의 별자리를 만들어 28수라고 하였는데요.

한국의 별자리도 대게 중국에서 전래된 사례가 되었어요.

 

 

하지만 이러한 별자리들이 다 지역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그 경계도 애매모호하기 때문에 1930년 국제 천문 연맹에서는 하늘을 88개의 별자리로 나뉘고, 황도를 따라 12도 북반구에 28, 남반구 48개의 별자리를 각각 확정하여 지금의 별자리들이 나타내어 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