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들의 이야기

견우와 직녀 이야기

반응형

음력 7월7일을 나타내는데요. 즉, 칠석이라고도 불리우는것이 더 우리들에게는 익숙한 표현인거 같아요. 

견우성과 직녀성은 서로가 사랑을 하지만 떨어져 살아야만 하는 운명에 관계인데요. 은하라고 하는 큰 강에는 다리가 없기 때문에 서로가 가까이 갈 수가 없기 때문이에요. 

 

그치만 견우와 직녀의 이러한 딱한 사정을 악고 해마다 음력 7월7일인 칠석날만 되면 지구에 있는 까마귀와 까치들이 하늘로 높이 올라가서 서로의 몸을 엮어서 견우와 직녀가 서로 만날 수 있도록 은하수에 다리를 놓아주게 됩니다. 

 

 

 

이 다리를 사랑의 오작교라고도 불리오는데요. 견우와 직녀는 이 다리를 건너와 1년만의 서로 만날 사랑을 하게 되고 새벽녂 닭이 울고 동이 트기 시작하면 다시 서로 헤어져야 하는 운명아닌 슬픈 운명을 지니고 있습니다. 

 

직녀는 다시 1년동안 자기의 별에서 베를 짜고 , 견우는 밭을 갈면서 각자의 삶을 살아가야 하는데요. 

 

이러한 이야기가 내려오고 있기 때문에 칠석날인 음력 7월7일에는 지상의 까마귀와 까치가 한마리도 볼 수 없다는 속설도 있습니다. 그리고 칠석날 저녁에는 비가 내리면 견우와 직녀가 서로의 만남을 기뻐하여 눈물을 흘리는 것이고 그 이튼날아침에 비가 온다면 그것은 서로의 헤어짐을 슬피 우는 것이라고 합니다. ^^

 

이렇게 견우와 직녀에 대한 이야기도 우리 어릴적부터 정말 재미나게 묘사가 되어 내려오고 있는데요. 

이 뿐 아니라 별자리에 대한 속설이나 이야기들은 또한 많이 있으니까 앞으로도 기대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