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 속 이야기

사계절이 아름다운 상원산 둘러보자.

반응형

사계절이 아름다운 상원산 둘러보자.

한반도의 등줄기인 태백산맥의 주축이 되는 고산준봉들이 무수히 버티고 선 강원도 산골 중에서도 오지에 위치한 산이다. 이름도 낯설겠지만 정상에서 남쪽 능선 아래 옥으로 갑옷을 두른 듯하다는 옥갑 산봉을 끼고, 그 위에 우뚝 솟아 주변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상석을 차지하고 있기에 상원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듯하다.

한편 정상에서 남으로 4km쯤 떨어진 옥갑산봉은 예전에 이 산에서 무예를 닦던 옥갑 장군이 당시 입었던 갑옷을 산속에 숨겨 두었다는 전설이 있고, 그 아래 옥갑사가 산 중턱 전망 좋은 곳에 자리 잡고 있다.

또 산행의 기점인 구절리란 이름은 구절양장에서 비롯된 말로서 북쪽에 발왕산과 고루포기산이, 바로 오른쪽에는 다락산과 동쪽으로 노추산과 사달산이 남쪽에 가리왕산 연릉이 각각 굽이치며 서쪽에는 잠두산과 백석산이 고산의 숲을 이루고, 여기에서 흘러나온 계류가 모여 송천을 이루고 이 곳 산세의 미묘함 때문에 굽이굽이 돌고 돌며 나가는데 구절양장을 방불케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렇듯 주변의 산수가 아름답지만 구절리 일대에 탄광촌이 발달되어 환경을 크게 저해하고 오염된 시커먼 하천이 흉측하기까지 아였으나 최근에 거의 폐광이 되어 버려 하천은 차츰 되살아나고 있는 느낌이다. 반면 버려진 탄광시설과 폐가 등이 한층 흉측스럽고 을씨년스러운 느낌을 주고 있다. 허나 이쯤의 덩치와 고산으로 심산의 맛을 제대로 느껴볼 수 있는 산도 드물어 찾아볼 만한 산이다.

상원산 산행가이드

산의 규모가 크고 높은 데다 찾는 이가 드물어 길 찾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산행 전에 충분한 정보 수집과 코스 개요를 숙지한 뒤, 산행에 임하는 게 좋을 것이다. 일단 정상에 올라서면 전망이 좋아서 하산 코스를 확인하기에 쉽다. 충분한 시간을 잡고 산행하기 바란다.

상원산 제1코스 <22km, 7시간 20분>

구절리역에서 여량 방향으로 차도를 따라 나가는 길은 송천을 끼고 맑고 풍부한 계류가 보기만 해도 시원해 멋진 계곡의 풍치를 보면서 나가게 되어 지루하지 않다. 차량 통행은 극히 드물어 보행에 지장이 없다. 하장평에서 다리를 건너 송천을 뒤로하고 서북쪽으로 난 비포장 길로 올라가게 된다.

전주가 늘어서 있는 차도를 따라 20분 정도 나아가면 유천초등학교가 나타난다. 다리를 건너서 이제부터는 계류를 왼쪽으로 끼고 계속 올라가게 된다. 이따금씩 민가가 띌 뿐 한적한 길 좌우로는 상원산과 다락산의 가파른 능선을 올라간 계곡 사이로 나가게 되는데, 제법 수량이 풍부한 계류가 어찌나 맑은지 깨끗한 계곡이 돋보인다.

한 시간쯤 걸으면 10여 가구가 넘는 큰 마을이 나타나는데 여기가 바로 상자개 마을이고 마을이 끝날 때쯤 오른쪽 위로 구절초등학교 자개 분교가 나타난다.

갈림길에서 왼쪽 아래 다리를 건너 들어가게 된다. 폭 2m 남짓한 농로를 따라 15분쯤 들어가면 토종벌통 집을 지나서 길 건너편에 빈집 한 채가 보이고 다시 10분쯤 더 올라가면 계곡이 갈라지는 분기점이 나오는데, 여기서 왼쪽 계곡길로 들어야 한다.

조금 더 들어가면 계곡을 가로막고 겨우 사람 하나가 빠져나갈 만한 문을 내어 이 곳을 통과해 들어가는 곳에서는 큰 계곡을 따라 30분쯤 올라가면 아예 잡목과 덩굴로 메운 경사지대에 이르는데 이때 이것을 피해 우회하여 곧장 올라가거나 오른쪽 지능선으로 올라가야 한다.

지능선에 올라서면 참나무 숲 사이로 가득 쌓인 가랑잎에 빠지기도 하고 미끄러지기도 하면서 막바지를 올라가면 능선 마루로 나오고 왼쪽으로 꺾이면서 1345봉에 이른다. 이젠 방향을 왼쪽으로 하고 약간 내려갔다가 올라가는 봉우리가 1363봉이다. 건너편에 더 높은 봉우리가 보이기도 한다.

철쭉나무 진달래 등이 많은 참나무 숲길을 따라 한차례 올라가면 1400봉이고 건너편 쪽에 정상이 마주 보인다. 길게 한없이 내려가는 것 같더니 차츰 오름 길로 바뀌고 꾸준히 올라가면 전망이 탁 트이면서 널따란 공터로 된 정상에 이른다.

반응형